PAPER
PAPER
2024~
2025
시각적 생태계에서 생성형 AI 이미지의 생존과 소멸 시뮬레이션, 이정빈, 박진완, 컴퓨터게임및콘텐츠논문지, 제38권 제2호, 2025.
게임 IP의 재매개 전략과 팬덤 2차 창작의 교차: 《승리의 여신: 니케》를 중심으로, 이하린, 박진완,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79호, 2025.06
생성형 AI와 시각적 내러티브의 확장: ‘피규어 김초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아영, 박진완,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JDCS), 제26권 제5호, 2025.05.
2024
효율적인 매체 전환을 위한 웹툰 파생 콘텐츠 제작 연구: 숏폼 애니메이션과 VR 웹툰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은, 박진완.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5권 제11호, 2024.11
Implementation of a Personalized Music Content Creation Platform Utilizing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and Generative AI, 이정빈, 김민진, 박진완, 컴퓨터게임및콘텐츠논문지, 제37권 제3호, 2024.09
A Study on Text-Based Game Design Strategies According to Webtoon Genres. Ji-eun Kim, Ah-yeong Kim, Jin-wan Park. Journal of Korea Computer Game Society, vol.37, no.3, 2024.09
AR 예술전시 콘텐츠의 감성디자인 요소가 재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가한, 박진완.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25, no.1, 2024.07
Research on “embodiment” in virtual space in media art. 차유나, 박진완. Journal of Korea Computer Game Society, vol.37, no.2, 2024.06
Artistic Collaboration in the Age of AI: A Perspective from Actor-Network Theory. 박하, 박진완. Journal of Korea Computer Game Society, vol.37, no.2, 2024.06
웹툰 제작 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 방안 연구, 김지은, 오나예, 박진완.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25, no.6, 2024.06
발달장애인의 직무훈련을 위한 VR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Road to Wheel Master 중심으로, 하주영, 박진완.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25, no.6, 2024.06
데이터와 예술의 융합을 통한 촉각적 표현 설계, 박하, 박진완. Journal of Korea Science & Art Convergence Society, vol.42, no.1, 2024.01
Research on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with human-computer inter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taverse, Yujing Cao, jinwan park. Journal of Autonomous Intelligence, vol.7, no.3, 2024.03
2021 - 2023 논문 현황
Xiyuan Zhang, 오나예, 박진완,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Material Differences of Objects in Projection Mapping,”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논문지, Vol.41, No.1, pp.313-322, (발행연도/월).
윤혜인, 박진완, “Case studies of Artistic Visualization Based on Sentiment Data,”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10, No.1, pp.63-65, (발행연도/월).
오나예, 강지수, 송해민, 박진완, “Interactive NFT Art that Utilizes NFT as Unique Promises for Social Responsibilit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36, No.3, pp.219-234, (발행연도/월).
이승엽, 김경민, 박진완, “A Study of game media ar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the work ‘Facing New Era’,”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6, No.4, pp.9-16, (발행연도/월).
오나예, 김정호, 박진완, “Remediating tradition with technology: a case study of From Tangible to Intangible: A Media Showcase of Kisa chin p’yori chinch’an uigwe,” Digital Creativity, Vol.32, No.1, pp.56-70.
박지혜, 오나예, 박진완, “뉴모피즘 디자인이 적용된 UI 디자인 트렌드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21, No.2, pp.148-160, 2021.02
박지혜, 이상욱, 서예은, 박진완, “Effective Method of Production Using Parallax Scrolling,”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8, No.2, pp.19-25
이상욱, 김영호, 박진완, “웹툰 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패럴랙스 콘텐츠 연출 방법 연구 - 기술 융합 콘텐츠 패럴랙스로 즐기는 뾰족뾰족 포크가족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논문지, Vol.39, No.1, pp.329-3420
2018 - 2020 논문 현황
“공포 영화 CG 캐릭터의 불쾌한 골짜기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예은, & 박진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21, no.9, 1585-1597,
“가상현실 플랫폼에서 프리프로덕션을 위한 스토리보드 연구”, 김정호·박진완, 디지털콘텐츠학회, VOl.21, No.4, pp.663 – 672
“다중 개발도구를 활용한 전시표현 연구 : 애니멀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김영호,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019.12
“VR 애니메이션 연출법 연구 – VR애니메이션<DreamTherapy>을 중심으로” , 김정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Vo.20, No.9, pp.1789-1798, 2019, 2019.09
“증강현실기술이 융합된 시문학 표현 연구”, 오나예,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P191-204, 2019.09
“A Study NPR Rendering with Spiral Drawing Style : Focused on the SSD(Single line Spiral Drawing)”, Young Ho Kim·Yang Kyu Lim·Jin Wan Park, ISEA, proceedings of ISEA 2019 (학회발표), pp: 523-526, 2019.
“Flower – inspired by the poem ‘Flower’ by Chun-Su Kim”, Jeong Hyun Kim, Yang Kyu Lim,
proceedings of ISEA 2019 (학회 포스터), pp:630-631, 2019.
“Music Creation Tool using Hangul, Korean Alphabet”, proceedings of ISEA 2019 (학회 포스터), pp:646-647, 2019.
“The New ways to express music with Virtual Reality”, proceedings of ISEA 2019 (학회 포스터), pp:644-645, 2019.
“웹툰에서 가상현실 만화로 매체 전환된 콘텐츠에서의 서사적 공간 확장 유형”, 이유나·하주영·박진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5호, 907 – 916 (10 pages), 2018.05
“Intangible Art Experience : Focused on String Art”, 최강타,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019
“3D Interface and Application Based on Fingertip Position”, 최강타,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2019
“텍스트 모자이크 기법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의 새로운 형태 연구”, 오나예·박진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481 – 487(7 pages), 2019.02
“수면다원검사에 기반한 생체데이터 시청각화 연구”, 김희수·오나예·박진완, 한국과학예술포럼 Vol.35, 145-155(11 pages), 2018.09
“중첩 젠탱글 아트 저작 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임양규·박진완, 한국과학예술포럼 Vol.35, 401-410(10 pages), 2018.09
“VR 360 영상 콘텐츠에서의 서사적 사건 및 배경의 배치”, 이유나·박진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9권 제9호, 1.631-1.639(9 pages), 2018.09
“The Way to Preserve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Yang Kyu Lim·, Jin Wan Park, Volume 852 of the series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SCOPUS) pp 192-195 , 2018.07
“Design and Development of Gesture Interface for Arcade Games”, Jae Kyoung Kim·Jin Wan Park,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 31권 제2호, 1-8(8 pages), 2018.06
“예술전공의 구조조정과 융합교육시스템의 개편 과정에 관한 고찰”, 박진완,한국예술연구 제 20호, 5-28(24pages), 2018.06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ssessment using a digital tablet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Gi Jung Hyun·Jin Wan Park·Jin Hee Kim·Kyoung Joon Min·Young Sik Lee·Sun Mi Kim·Doug Hyun Han,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pages 137-143,2018.04
“기만적 데이터 시각화 사례 연구”, 김시현·박진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9권 제 3호, 521-528(8 pages), 2018.03
“화면 구성의 무게중심 분석 연구 –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김영호·박진완, 한국과학예술포럼 Vol.30, 39-48(10pages), 2018.01
2015 - 2017 논문 현황
“도플러효과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지휘 연습 툴 연구”, 임양규·박진완,한국과학예술포럼 Vol.30, 367-376(10pages), 2017.09
“A Case Study of Mobild Game Using Webtoon as Original Content”, 하주영·박진완,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 30권 제 3호, 35-43(9 pages), 2017.09
“증강현실 마케팅 사례 연구”, 문한별·김진희·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7권 제 2호, 160-171(12 pages), 2017.02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갤럭시키즈〉 제작 사례 연구”, 김탁훈·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7권 제 1호, 444-454(11 pages), 2017.01
“순차협업형 프로젝션 맵핑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박진완·이은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한국과학예술포럼, 2016.12, 2005-1409
“관람자의 참여유도를 위한 인터랙티브 아트 연구”, 박진완·임양규·하주영,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4 no.5, pp.37-52, no.5, 2016.1, 2092-8157
“Visual History with Choson Dynasty Annals”, 박진완·박성국·이은주, MIT PRESS, ONE ROGERS ST, CAMBRIDGE, USA, MA, 02142-1209, LEONARDO, vol.49 no.4, pp.334-341, no.4, 2016.08, 0024-094X (A&HCI)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성 평가 연구”, 박진완·이미경,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6 no.8, pp.508-516, no.8, 2016.08, 1598-487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tainment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User Experience”, 박진완·이미경,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3 no.3, pp.6-9, no.3, 2016.08
“Multiplatform Game Type of Health Survey on Cancer Patient’s Stress Level”, 정상락·박성국·김동균·김재희·박진완·임양규·문한별,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330-334, 2016.06, 1865-0929 (SCOPUS)
“I am Ssam: Learning Benefits of the Korean Wrap Food”, 임양규·이은주·하주영·박진완,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513-518, 2016.06, 1865-0929 (SCOPUS)
“Motion Detection and Sound Effect Game for Daily Jogging”, 박진완·이은주·정현천·박성국·임양규,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112-116, 2016.06, 1865-0929 (SCOPUS)
“Intended Virtuality and Spontaneous Interactivity”, 박진완·권종수, 첨단영상대학원,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3 no.2, pp.6-9, no.2, 2016.05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CT) 개발 사업 고찰”, 박진완,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방송과 미디어, vol.21 no.2, pp.9-19, no.2, 2016.04
“The use of photographs taken by variation in dog’s heartbeat for emotional measurements”, 박진완·문한별·임양규, 한국 HCI 학회, HCI 학술대회, 2016.02
“Fashion Projection Mapping Using Basic Modeling Form”, 임양규·이은주·정현천·박진완,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421-426, 2015.07, 1865-0929 (SCOPUS)
“World Travel Radio – Media Artwork using Geographic based Weather Data”, 박진완·임양규·지호준, journal of Art and Science, TechArt, vol.2 no.2, no.2, 2015.06, 2288-9248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나노그래피-“, 박진완·지호준,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3 no.4, pp.187-201, no.4, 2015.04, 2092-8157
“디지털 칼레이도스코프 : 만화경 효과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박진완·정현천,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3 no.2, pp.123-134, no.2, 2015.02, 2092-8157
2014 이전 논문 현황
2021 - 2023 논문 현황
SF영화에서 살펴본 메타버스의 시대별 양상과 변화. 오나예, 박진완.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3, no.12, 2023.12
A Study of game media ar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the work 'Facing New Era'. 이승엽, 김경민, 박진완. Journal of Korea Computer Game Society, vol.34, no.4, 2023.12
The Analysis of Music Emotion and Visualization Fusing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under the Internet of Things, Yujing Cao, jinwan park IEEE Access, vol.11, 2023.12(SCI)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Material Differences of Objects in Projection Mapping”, Xiyuan Zhang·오나예·박진완,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논문지, Vol.41, No.1, 313-322
“Case studies of Artistic Visualization Based on Sentiment Data”, 윤해인·박진완,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10, No.1, 63-65
“Interactive NFT Art that Utilizes NFT as Unique Promises for Social Responsibility”, 오나예·강지수·송해민·박진완,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36, No.3, 219-234 (SCOPUS)
“A Study of game media ar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the work ‘Facing New Era'”, 이성엽·김경민·박진완,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6, No.4, 9-16
“Remediating tradition with technology: a case study of From Tangible to Intangible: A Media Showcase of Kisa chin p’yori chinch’an uigwe”, 오나예·김정호·박진완,Digital Creativity, vol.32,No.1,56-70
“뉴모피즘 디자인이 적용된 UI 디자인 트렌드 분석 연구”,박지혜·오나예·박진완,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Vol.21,No.2,148-160
“Effective Method of Production Using Parallax Scrolling”, 박지혜·이상욱·서예은·박진완,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8,No.2, 19-25
“웹툰 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패럴랙스 콘텐츠 연출 방법 연구 -기술 융합 콘텐츠 패럴랙스로 즐기는 뾰족뾰족 포크가족을 중심으로-“, 이상욱·김영호·박진완,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No.1, 329-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