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NEWS
박진완 교수, 시지각 패턴 분석을 통한 미술품 위작 판별 기술 발표
소프트웨어학부 박진완 교수가 지난 7월 28일 미국 LA에서 열린 SIGGRAPH에서, 시각예술 데이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미술작품에서 나타나는 작가 고유의 특성을 추출·정량화, 작품의 진위판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 진위를 판결하는 기술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인문학 연구를 주도하는 HK+ 사업(단장: 이찬규)의 성과로, 인문, 예술, 공학 분야의 이종학문 협업 결실 중 하나이다.
위 HK+사업을 수행하는 인문콘텐츠연구소 HK+사업단은 인공지능 기술이 불러올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인문학의 본질을 확대하고 그 가치를 고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적·윤리적 반성, 인공지능으로 야기되는 사회·문화적 현상 탐구, 인공지능을 이용한 새로운 인문학 연구방법론 창출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림 1] 몬드리안 작품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작품의 중심 패턴의 변화
[그림 2] 몬드리안과 폴락의 비교 예시(a) 와 넥스트 렘브란트에 대한 분석 결과 예시 (b)
박진완 교수의 연구는 80여개국, 1만 5천명이상이 참여하는 세계최고의 컴퓨터 그래픽스 컨퍼런스인 시그래프(SIGGRAPH)의 주요 프로그램 ‘아트페이퍼’ 선정과 동시에 인문예술의 최고 논문지중 하나로 여겨지는 ‘Leonardo'(MIT Press) 에 출판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본 논문의 결과물은 전통적인 안목 감정의 과정을 배제하고, 회화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식적 특징 요소를 무게 중심 유형 분석을 통해 추출, 이를 공학적 관점에서 정량 분석하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는 기존의 사료 기반의 정성적 미술사 연구방법론이나 미술작품 분석방법론에 내재해 있는 제약적 요소를 해소하며, 공학을 기반으로 작가의 고유한 화법상의 시각적 특징, 양식, 근대 작가간의 관계성이나 영향력 등을 재조명할 수 있는 미술사 및 미술품에 대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으로의 학문적 응용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본 논문이 제공하는 미술작품 위작판별기술(Art Forgery Forensics)은 미술 시장의 지능범죄 해결에 대한 검증 신뢰도를 높이는 실무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진완 교수, JCR-A&HCI 레오나르도(Leonardo, MIT Press)
표지논문 선정
중앙대학교 박진완(융합공학부 디지털이미징 전공) 교수 연구팀(연구원: 박성국, 이은주)이 연구한 조선왕조실록 데이터 시각화(Visual History with CHosun Dynasty Annals) 논문이 세계최고의 컴퓨터 그래픽스이며 융합 컨퍼런스인 시그래프(SIGGRAPH)의 주요 프로그램 ‘아트페이퍼’에 선정됨과 동시에 인문예술의 최고 논문지중 하나로 여겨지는 ‘Leonardo'(MIT Press) 가을호의 표지논문으로 발표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Leonardo 논문지는 JCR 논문지 중 그 희귀성으로 인해 SCI 이상 최고 난이도로 분류되는 A&HCI (Art and Humanity citation index) 논문지 중 하나이다. 한국 상위권 대학의 JCR 출판 중 SCI 대 A&HCI의 비율은 1,000대 1에 달할 정도로 매우 희귀하며, 그 중에서도 Leonardo 논문지는 융합예술 및 융합공학연구 분야의 독보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그 권위를 널리 인정받아 최상의 입지를 지니고 있다.
<조선 건국 초기의 데이터 시각화, 수 많은 사건들과 권력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매년 SIGGRAPH와 협업하여 논문심사를 하는 Leonardo의 가을호는 탈락률이 최고 95%에 이르는 혹독한 평가를 거치고 있다. 이렇게 경쟁률이 높은 이유는, 논문의 발표와 함께 예술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작품의 발표를 가을호에 한정해 동시에 행하기 때문이다. 박진완 교수 연구팀의 연구논문이 이 치열한 경쟁을 뚫고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것은 한국의 융합 연구 분야에 있어 존재한 바 없는 초유의 사건이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을 객관적으로 정리한 다량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속에 숨어있는 감성적 지식을 시각화하였으며, 감정의 공명을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 절차에 대한 데이터 시각화 논문으로써 예술과 공학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한국 역사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외국 전문가들도 아름다운 이미지속의 비극적인 사건들이라는 부조화적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공감이 이루어졌다.
<Leonardo와 SIGGRAPH의 아트페이퍼 리셉션 파티에서 조선왕조시각화가 인쇄된 케이크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단 한 번의 사건이 아닌 박진완교수의 지속적인 융복합 연구의 방향성을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박진완 교수는 이미 한국인 최초로 전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페스티발인 SIGGRAPH 일레트로닉 티어러(Electronic Theater)를 본선 수상한 바 있으며, 그 이후 십여 년간 14 차례의 주목할 만한 예술과 공학의 융합 작품과 논문을 SIGGRAPH를 통해 선정,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이 분야 최상급 JCR-A&HCI 논문지인 Leonardo에서도 과거 두 차례 논문을 발표하여 융합연구 분야의 학문적 권위를 인정 받아왔다. 특히 지난 두 번의 SIGGRAPH와 Leonardo를 통해 발표된 한국 족보를 통한 데이터시각화에 관한 내용은 건조한 성명 데이터로부터 스토리를 끌어내는 예를 성공적으로 선보였으며, 그 후속 연구인 본 논문은 데이터 시각화라는 데이터 분석 도구의 커뮤니케이션 소구 활용성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연구 성과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SIGGRAPH 2016
Abstract
For this paper, the authors selected three historical events taken from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at represent dramatic and tragic stories about parents and their sons for data visualization. By connecting names with entities indicating conductions from history books, they found interesting patterns that tell stories with embedded relations. The visualized images in this paper were mainly code-generated, based on the data of the Annals, with some graphic embellishment added.
This visualization illustrates the story of a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 and his son, who longed only to be loved by his father. The father expected his son to be greater than him. Despite the son’s efforts, he never satisfied his father. The son began to feel unworthy and soon became destructive. This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is a common phenomenon and still occurs today in most societies…
출처
http://www.mitpressjournals.org/doi/abs/10.1162/LEON_a_01286?journalCode=leon#.WG8Lm_mLSHs
http://dl.acm.org/citation.cfm?id=2915185&dl=ACM&coll=DL&CFID=885466511&CFTOKEN=84536257)
Group Projection Mapping Art Project
Art Director : EunJu Lee
Technical Director : Jin Wan Park
Technical Support : Yangkyu Lim
Projector Support : Hojun Ji
여러 작가의 아이디어가 하나의 Template을 통하여 생명을 공유하는 유기체로 변화하는 것을 상징한 협업 작품이다. 공통 주제에 의한 여러 작가의 변주가 아닌, 사각형에 고정되지 않은 Template Geometry 라는 물리적인 한계에서 작가들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보여준다.
Artists
이은주, 임양규, 이지훈, 김차령, 최숙영, 안도윤, 이재원,이우현, 민상현, 정호영, 김효선, 이암, 정지수, 김미강, 윤혜인,박성실, 전미정, 하주영, 지호준, 진영훈, 김도희, 홍지영, 박성국
Group Projection Mapping Art Project 그림1
Group Projection Mapping Art Project 그림2
-----------
Chung-Ang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16th Art & Technology Exhibitio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Characters Data Visualization Program
Image from the Sunjong Annals, which consists of various butterflies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being the first and only cultural asset included in the registry of UNESCO Memory of the World, is highly valuable. These annals, compared to other records, are not only extensive in terms of length (since they were recorded for 500 years) but also show excellence in terms of objectivity.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making a visualization tool to understand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at a glance by visualizing the characters from the annals’ text. In addition, this paper tells the story of historical patterns derived from the visualized annals. Especially, this study exhibits dynamic visualization with hyperbole and symbols through non-conventional charts.
중앙대학교 영신관 프로젝션 맵핑 (4D Projection Mapping Show)
https://vimeo.com/51271020?embedded=true&source=video_title&owner=3398994
2012년 10월 9일 10일 중앙대학교 서울 캠퍼스 정문 영신관 건물에 개교 94주년 기념으로 프로젝션 맵핑과 공연이 있었다. 영신관 프로젝션 맵핑은 인트로, 엔딩 그리고 실시간 프로젝션 맵핑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인트로와 엔딩은 미리 베이크된 영상을 플레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위의 영상은 인트로 부분이다. 중앙대학교의 94년 “중앙의 역사”에 대한 내용으로 제작되었다.
아래 영상은 엔딩영상으로 중앙대학교의 “비상”이라는 주제로 제작된 영상이다.
https://vimeo.com/51271021?embedded=true&source=video_title&owner=3398994
3만안시 프로젝터 두 대를 블렌드해서 사용했으며, 왜곡 보정을 위해 Watch out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앙대학교 영신관 앞의 잔디광장에 아시바를 이용해 두대의 프로젝터를 설치하였다. 공연의 2일간 120분 정도의 공연이었다. 일반적인 프로젝션 맵핑 영상이 10분 내외로 제작되는 것을 감안했을 경우에 이번 공연은 12배에 정도의 런닝 타임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연극과 같이 하나의 주제를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8개가 넘든 팀들이 다양한 공연과 연주 그리고 연극을 선보였다. 프로젝션 맵핑 공연의 특성상 120분 분량의 영상을 제작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어 FMA(Future Media Arts LAB 연구실에서는 영상팀과 프로젝션팀을 별로도 두어 프로젝션 맵핑 컨트롤이 가능한 VJ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했다. 이 프로그램은 Processing으로 제작되었으며 ControlP5인터페이스 라이블러리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약 30여개의 이펙트를 내장하고 있다. 각각의 이펙트는 클래스 형태로 만들어져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해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컨트롤러 창과 플레이어 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컨트롤러 창에서 조작한 영상이 플레이어 창에서 플레이 되도록 되었다.
컨트롤러 크기는 768 * 1024 이고 플레이어는 HD 사이즈인 1920 * 1080 사이즈이다. OpenGL렌더를 이용해서 초당 50 프레임 이상을 플레이하게된다. 프로세싱의 특성상 동영상 플레이가 아닌 프로세싱으로 만든 영상과 이미지이다. 프로그램의 장점이라고 할수 있는 것은 프로세싱의 minim 라이블러리를 활용해 공연에서 이루어지는 사운드 입력을 받아 실시간으로 싱크 되어 이미지와 영상이 바뀐다는 것이다. 레벨 값과 FFT 로 받은 사운드 값을 컨트롤 해서 하나의 사운드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입력된 사운드 값은 슬라이드 바로 조정할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경우 ControlP5 그래픽 인터페이스 라이블러리를 이용해서 구현 하였다 각각의 버튼은 키보드와 키맵핑이 되어 있어 단축키로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은 이미지와 같다. 인터페이스의 크기는 OSC 통신을 이용해 아이패드로 컨트롤 할 것을 생각하여 해상도가 조정되었다. 아래 이미지는 아이패드의 Touch OSC의 인터페이스이다.
아래는 공연 전에 프로그램테스트 영상이다.
https://vimeo.com/51287956?embedded=true&source=video_title&owner=3398994
SIGGRAPH 2012
Concept of Artwork
This work represents memories of childhood. A lollipop is one of the world’s most be loved snacks. Although it is common to normal people, a lollipop is not an affordable snack to poor children. This work expresses an imaginary lollipop by a user’s drawing. The candy drawing is printed on a paper having a message on its backside. The message represents memories of childhood. The printer uses fragrance inks to print out an origami with a lollipop shape. The audience carries on art works which have a fragrance and lollipop shape. This is a fake lollipop, however it may represent a hope for everyone.
Publishable Technical Description of Artwork Submitted
This work is made by Processing Language and Flickr API with the Wii remote control. It tracks an infrared light pen for drawing interface. The result of the image will be uploaded to Flickr.com and it will be shared with the world. With Mixing various colors and using different fragrance inks, this work interacts with the audiences.
(출처: http://dl.acm.org/citation.cfm?id=2073314&dl=ACM&coll=DL&CFID=885947097&CFTOKEN=21130066
SIGGRAPH 2011
SIGGRAPH ASIA 2011 Art Gallery “Scent of Lollipop”
Jaejoong Lee (only104@naver.com)
Jin wan Park (jinpark@cau.ac.kr)
Concept of Artwork
This work represents memories of childhood. A lollipop is one of the world’s most be loved snacks. Although it is common to normal people, a lollipop is not an affordable snack to poor children. This work expresses an imaginary lollipop by a user’s drawing. The candy drawing is printed on a paper having a message on its backside. The message represents memories of childhood. The printer uses fragrance inks to print out an origami with a lollipop shape. The audience carries on art works which have a fragrance and lollipop shape. This is a fake lollipop, however it may represent a hope for everyone.
Publishable Technical Description of Artwork Submitted
This work is made by Processing Language and Flickr API with the Wii remote control. It tracks an infrared light pen for drawing interface. The result of the image will be uploaded to Flickr.com and it will be shared with the world. With Mixing various colors and using different fragrance inks, this work interacts with the audiences.
SIGGRAPH 2009
Abstract
A human life is not generated spontaneously; our existence is a random combination of hazy vestiges of our ancestors. The idea behind this artwork is to embody half a millennium of data about people’s lives into a single computer-generated image
Family tree of Mr. Park (Myrang branch, Hwarok sub-branch); Visual genealo-gy reveals the cognitive meanings of a complex dataset — in this case, the data is life and death. (© Jin Wan Park)
Jokbo: Vestiges of Souls
Maybe all men got one big soul where everybody’s a part of- Thin Red Line, Terrence Malick [6]
The documents that comprise a Jokbo summarize a family’s heredity, focusing on paternal descent. These documents support the family’s status and preserves records of the achievements and epitaphs of its ancestors. Thus, it is a kind of history book for the clan. Koreans havealways tried to protect documents that relate to their family tree: before the 20th century they would risk their lives to do so. But today Jokbo is becoming less important as Korea turns to a western lifestyle based on individualism…
Sample pages of a Jokbo for Sang-san Kim (last name Kim, clan branch name Sangsan) family.
many years. The span of this genealogy book includes the two late 16th-century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subsequent battl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otal military and civilian casualties of these events have been estimated at a million, which was more than 10%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at the time (shown as blank area inthe image)…
his image relates to the marriage of Ms. Lim (Kangreung clan) and Mr. Park (Bannam clan). Their marriage creates a new family tree; but if they divorce this com-bination of networks will simply disappear. Individuals connected by marriage in a traditional family tree become disconnected by divorce. [12] (© Jin Wan Park )
Marriage and Divorce with Surnames
No man is an island, entire of itself; every man is a piece of the continent, a part of the main – Medita-tion XVII, John Donne [8]
The historic Korean view of marriage is that it is a combination of families, com-bining two different social networks in a very visible way. In the mixing of two different cultures, some elements may continue, new elements may arise, and others may be modified in a process of mutual adjustment. The picture shows how the family trees of a man and a woman are united when they marry…
SIGGRAPH 2006
SIGGRAPH 2006
The output created by this algorithm was put on display in a local art gallery, and was widely mistaken for actual paintings. The team would now like to demonstrate this fusion of art and science at the SIGGRAPH 2006 conference in a manner that is accessible to all attendees.
Step 1 : The program begins whenever someone sits
Step 1 : in the designated chair.
Step 2 : A digital camera captures one still image of the
Step 2 : participant’s face.
NOTE: The screen will be visible at some distance
Step 3 : The program begins to “paint’ the image
Step 3 : stroke-by-stroke on a 50 inch PVP monitor.
Step 4 : The program continues until the portrait is
Step 4 : completed.
Step 5 : The output is printed to (A3 size) paper via a
Step 5 : color inkjet printer.
NOTE: The process takes less than 3 min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