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
Stereoscopic Media Art That Changes Based on Gender Classification Using a Depth Sensor (SCIE) |
2014년 논문 현황 |
“휴대 전화기의 벨소리 효과를 활용한 연주 장치 개발”,임양규· 박진완,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논문집, 2014.12, 2092-8157 |
“프로젝션 매핑 콘텐츠의 카메라 움직임 유형에 관한 연구”, 박진완·송민지,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4 no.8, pp.1-12, no.8, 2014.08, 1598-4877 |
“Stereoscopic Media Art That Changes Based on Gender Classification Using a Depth Sensor”, 박진완·남상훈·김영은,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2014.06, 1550-1329 (SCIE) |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제스처연기 분석 : 찰리 채플린, 버스터 키튼의 과장연기 비교를 중심으로”, 박진완·이다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pp.45-79, 2014.03, 1738-009X |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정보를 통한 개인 성격유형 분석 앱 개발”, 박진완·한정화,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4 no.2, pp.19-27, no.2, 2014.02, 1598-4877 |
|
2013 |
Interactive painterly rendering with artistic error correction (SCIE) |
2013년 논문 현황 |
“Topics on bible visualization: content, structure, citation”, 박진완·김효영, ACM, SA `13 SIGGRAPH Asia 2013 Art Gallery, 2013.11 |
“Topics on aesthetic data visualization: viewpoints, interpretation, and alternative senses”, 박진완·김효영, ACM, SA `13 SIGGRAPH Asia 2013 Art Gallery, 2013.11 |
“Text Visualization: Expressive Materials and Diverse Approaches”, 박진완·김효영, IEEE, 2013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Visualisation, pp.74-79, 2013.09 |
“Topics on Public Game Art Using Media Facade”, 박진완·김효영, Springer Verlag,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pp.213-218, 2013.09, 1876-1100 |
“In Between: Media Artwork that Uses Stroboscopic Effects”, 박진완·남상훈·이재중·김영은,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JDCTA, 2013.08 |
“텍스트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성경 시각화 사례 분석 : 텍스트의 내용적, 구조적 특성 및 인용 정보를 중심으로”, 박진완·김효영,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3 no.8, pp.83-92, no.8, 2013.08, 1598-4877 |
“Interactive painterly rendering with artistic error correction”, 박진완·류승택·서상현, SPRINGER, VAN GODEWIJCKSTRAAT 30, DORDRECHT, NETHERLANDS, 3311 GZ,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pp.221-237, 2013.07, 1380-7501 (SCIE) |
“A Study for Web Site Color Guideline for Universal Access for Color Vision Deficiencies”, 박진완·김영은·이미경,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246-250, 2013.07, 1865-0929 |
“A Media Art Study Using Multi-Sensory Elements”, 박진완·이재중,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277-281, 2013.07 |
“Genre Visualization Based on Words Used in Text”, 박진완·김효영, Springer Verlag,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pp.551-554, 2013.07, 1865-0929 |
“User Interface of Interactive Media Art in a Stereoscopic Environment”, 박진완·남상훈·이미경·김영은, Springer Verla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pp.219-227, 2013.07 |
“태블릿 PC 환경에서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완·이미경,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pp.193-202, no.3, 2013.07, 1598-2319 |
“라이브 프로젝션 매핑 공연을 위한 실시간 VJing 시스템 구현”, 박진완·이재중·노선,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3 no.6, pp.55-66, no.6, 2013.06, 1598-4877 |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 분류체계 연구”, 박진완·김효영,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3 no.5, pp.183-190, no.5, 2013.05, 1598-4877 |
“관람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미디어 아트의 전시 공간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완·최보람,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pp.423-433, no.1, 2013.02, 1598-8635 |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 재료와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박진완·김효영,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3 no.1, pp.64-72, no.1, 2013.01, 1598-4877 |
“Stitching 기법을 이용한 고해상도 렌티큘러 사진 작품 연구”, 박진완·김효영·권종수,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pp.183-192, no.1, 2013.01, 1598-2319 |
|
2012 |
Tracing time through interactive artworks (SCOPUS) |
2012년 논문 현황 |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대형 퍼블릭 게임 고찰”, 박진완·김효영,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139-146, 2012.12, 1976-6513 |
“융합 전시를 위한 동일 기술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 박진완·이재중,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pp.569-578, no.4, 2012.1, 1598-2319 |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국내 대학병원 웹사이트 컬러 개선에 관한 연구”, 박진완·이미경,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pp.197-206, no.4, 2012.1, 1598-2319 |
“색각이상자를 위한 모바일 웹사이트의 컬러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박진완·이미경,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2012.08, 1226-8046 |
“Scroll Tracking 실험을 통해 분석한 웹툰의 연출기법”, 박진완·노선·최보람,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2.07, 1598-2319 |
“Tracing time through interactive artworks”, 박진완, Springer Verlag,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2012.06, 1876-1100 (SCOPUS) |
“장르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책 장르 시각화”, 박진완·김효영,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2.05, 1598-4877 |
“Tracing Time through Interactive Artworks”, 박진완·남상훈·김영은, Springer,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2012.04 |
“도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미디어 파사드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최보람·박진완·노승석,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pp.501-510, no.2, 2012.04, 1598-8635 |
“L-system을 이용한 음악 시각화”, 박진완·이동섭·김효영,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pp.67-77, no.2, 2012.04, 1598-2319 |
“텍스트의 난이도 파악을 위한 가독성 정보의 시각화”, 김효영·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pp.31-40, no.2, 2012.04, 1598-2319 |
“문화원형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작품 연구”, 노승석·김형기·박진완·이재중,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5 no.1, pp.157-166, no.1, 2012.02, 1226-8046 |
“장노출 효과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한 입체 영상 미디어아트 제작”, 김영은·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pp.271-278, no.1, 2012.01, 1598-2319 |
|
2011 |
Information Aesthetics with Visual Genealogy Project (A&HCI) |
2011년 논문 현황 |
“Textual visualization based on readability”, 박진완·이동섭·김효영, ACM, SIGGRAPH Asia 2011, 2011.12 |
“Information Aesthetics with Visual Genealogy Project”, 박진완, MIT PRESS, 55 HAYWARD STREET, CAMBRIDGE, USA, MA, 02142, LEONARDO, vol.45 no.5, pp.464-465, no.5, 2011.1, 0024-094X (A&HCI) |
“웹 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의 텍스트 시각화 구현”, 박진완·이재중,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pp.143-152, no.4, 2011.1, 1598-2319 |
“Procedural Reproduction of Rule-Based Painting”, 박진완,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24 no.3, pp.51-56, no.3, 2011.09, 1976-6513 |
“예술적 데이터 시각화 고찰”, 박진완·김효영,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pp.194-202, no.3, 2011.07, 1598-2319 |
“애니메이션의 표현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 박진완·이지혜, 한국디자인학회, 한국 디자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지, 2011.05 |
“2D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권혁인·박진완·이현정,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1 no.1, pp.157-164, no.1, 2011.01, 1598-4877 |
“그림책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물 구현에 관한 연구”, 박진완·노승석·최지영, 한국 HCI 학회, HCI 2011, 2011.01 |
|
2010 |
Study on internet game (FPS) interface from a view of user`s contemplation (SCOPUS) |
2010년 논문 현황 |
“이미지 중첩을 통한 실시간 포토콜라주 생성에 대한 연구”, 박진완·원규철·이재중,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193-202, no.23, 2010.12 |
“Visual Genealogy 밀양박씨 화록공파”, 박진완,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3 no.6, pp.35-38, no.6, 2010.11, 1226-8046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 작품 구현 방안 연구”, 박진완·노승석·최지영,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3 no.5, pp.233-242, no.5, 2010.11, 1226-8046 |
“게임(FPS) 인터페이스 안에서의 게임유저의 미학적 유희에 대한 연구”, 고창선·박진완,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 no.21, pp.17-23, no.21, 2010.06 |
“FPS 게임에서의 캐릭터성격 분석 연구”, 박진완·노승석·박명훈,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춘계종합학술대회, 2010.05 |
“공연예술에서 뉴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박진완·이재중·문하나,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춘계종합학술대회, 2010.05 |
“도시 속 미디어 파사드 표현에 관한 연구”, 박진완·노승석·최지영,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춘계종합학술대회, 2010.05 |
“모바일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진완·김효영,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10 no.2, pp.65-74, no.2, 2010.04 |
“착시의 예술인 옵아트(Op Art)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작품 연구”, 박진완·고창선·노승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10 no.2, pp.85-94, no.2, 2010.04 |
“인터벌 촬영을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장기노출 사진 구현”, 박진완·고창선·이재중,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10 no.2, pp.339-347, no.2, 2010.04 |
“A study on contemporary media art utilizing low spec flight simulation”, 박진완·고창선, Tokyo Polytech, et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a Art and Information Aesthetics, 2010.02 |
“Study on internet game (FPS) interface from a view of user`s contemplation”, 박진완, 2010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entric Computing, HumanCom 2010, 2010.01 (SCOPUS) |
“가입형 블로그의 유형에 따른 UI Design 패턴 분석”, 김효영·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10 no.1, pp.173-181, no.1, 2010.01 |
“상업영화 제작 사례를 통한 3D Digital actor활용에 관한 접근 – 영화 <과속 스캔들> 시각효과 제작 사례 중심으로 -“, 이재중·안재곤·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10 no.1, pp.245-254, no.1, 2010.01 |
|
2009년 논문 현황 |
“로봇을 이용한 벽화 시스템”, 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pp.592-599, no.12, 2009.12 |
“중첩 모자이크 알고리즘 아트 – 예술과 공학의 융합”, 박진완,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2 no.6, pp.21-24, no.6, 2009.11, 1226-8046 |
“도시의 재개발과 미술의 비판적 개입에 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한국의 도시개발과 미술운동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박진완·최규완, 영상예술학회, 영상예술연구, pp.301-328, no.15, 2009.11 |
“소리 시각화를 응용한 실시간 공연영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장은선·홍성대·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9 no.4, pp.55-64, no.4, 2009.1 |
“Souls of 5.18 (18th of May) Kwang-Ju resistances: Visualization of Human Emotion”, 박진완·홍성대,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139-144, no.18, 2009.09 |
“프로시듀럴 애니메이션의 영역 확장에 대한 고찰 – 시그래프 아트 갤러리를 중심으로 -“, 류승택·장호연·박진완,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4, pp.123-134, no.4, 2009.08, 1598-8635 |
“음절 데이터의 시각적 형태 구성에 관한 연구”, 박진완·박선희·홍성대,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9 no.3, pp.391-400, no.3, 2009.07 |
“비디오게임 `The Night Journey`와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박진완·김영은·김효영,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71-78, no.17, 2009.06 |
“무대 공연에서 현악기 소리에 반응하는 실시간 영사에 관한 연구”, 홍성대·박진완·장은선,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2009 춘계종합학술대회, 2009.05 |
“디지털텍스트의음절을이용한운율정보시각화에관한연구”, 이재중·박선희·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2009 춘계종합학술대회, 2009.05 |
“NXT 로봇을 이용한 SVG 기반 실시간 드로잉”, 류승택·장호연·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2009 춘계종합학술대회, 2009.05 |
“실재 조명의 노출 값을 적용한 3차원 가상 조명에 관한 연구”, 이제환·박진완·홍성대,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pp.362-373, 2009.02, 1598-8635 |
“Nadal vs Alien / viral content for UEFA Euro 2008 애니메이션 제작 사례 연구”, 박진완·김탁훈,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pp.227-238, 2009.02, 1598-8635 |
|
2018 |
Video background replacement using a genetic (SCI) |
2008년 논문 현황 |
“피지컬 로봇을 이용한 예술 작품 구현 환경 연구”, 장호연·박진완·홍성대·류승택,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161-168, 2008.12 |
“회화 표현 양식을 모방하는 NPR 시스템 개발 연구”, 박진완·홍성대,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6 no.80, pp.9-12, no.80, 2008.11, 1226-8046 |
“자바 프로세싱-프로세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드로잉 작품 연구”, 박진완·홍성대·장경숙,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6 no.80, pp.13-16, no.80, 2008.11, 1226-8046 |
“이메일 콘텐츠에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 시각화에 관한 연구”, 박진완, 한국기초조형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국제학술대회 연구논문발표집, pp.63-64, 2008.11 |
“영화 ‘중천’에 사용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박진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vol.8 no.4, pp.119-129, no.4, 2008.1 |
“디지털 텍스트를 이용한 정보시각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진완·박선희·홍성대,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 연구 (통합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p.154-155, 2008.1 |
“Game Art Curriculum in Fine Arts Major”, 박진완·서동수,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53-58, 2008.06 |
“이미지를 활용한 오디오-비쥬얼 시스템 구성”, 박진완·서준석·홍성대,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pp.121-129, no.6, 2008.06 |
“다이어그램(Diagram) 구조를 이용한 가계도 데이터의 원형 배열에 대한 연구”, 박진완·서준석·홍성대,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2, pp.459-470, no.2, 2008.05, 1598-8635 |
“영화 ‘해바라기’의 디지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홍성대·이재훈·박진완,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2, pp.695-707, no.2, 2008.05, 1598-8635 |
“비사실적 렌더링 기반 예술과 공학의 융합 연구”, 박진완·서준석·홍성대,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3 no.77, pp.93-102, no.77, 2008.05, 1226-8046 |
“Video background replacement using a genetic”, 임양미·박진완, SPIE-INT SOCIETY OPTICAL ENGINEERING, 1000 20TH ST, PO BOX 10, BELLINGHAM, USA, WA, 98225, OPTICAL ENGINEERING, vol.47 no.4, no.4, 2008.04, 0091-3286 (SCI) |
“Max/Msp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 연구”, 홍성대·장호연·박진완,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57-63, 2008.03 |
“대전 격투게임의 사례 분석을 통한 게임 밸런싱 연구”, 이재중·한승우·박진완, 한국게임학회,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pp.15-27, 2008.02, 1598-4540 |
“뇌파 신호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상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진완·홍성대·서준석,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pp.177-186, 2008.02, 1226-8046 |
|
2007년 논문 현황 |
“실시간 3D 게임엔진을 이용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홍성대·박진완·노승석,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0 no.5, pp.79-88, no.5, 2007.11, 1226-8046 |
“Visual Genealogy: 한국 족보의 거대 데이터를 이용한 시각적 구성”, 박진완·서명석,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vol.20 no.6, pp.37-42, no.6, 2007.11, 1226-8046 |
“미학적 접근을 통한 회화적 렌더링 연구”, 박진완·홍성대·허수정, 영상예술학회, 영상예술연구, pp.183-211, 2007.11 |
“interactive media design method for applying realtime resposive animation”, 이재원·박진완, IASD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ocieties of design research, 2007.11 |
“세분화 단계(LOD)를 적용한 카툰렌더링”, 박진완·류승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9, pp.26-33, no.9, 2007.09 |
“타이쿤 모바일 게임의 동향 분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박진완·박홍·홍성대,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11-16, 2007.06 |
“FFT 기반에 의한 영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박진완·노승석·홍성대,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83-89, 2007.06 |
“프로세싱언어를 이용한 실시간 아스키 아트 작품 구현 연구”, 이재중·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pp.37-46, 2007.06 |
“온라인 게임 사이트의 웹 2.0 도입 사례 분석을 통한 향후 발전 요소 전망에 대한 연구”, 박홍·박진완, 한국 콘텐츠 학회, 한국 콘텐츠 학회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101-110, 2007.06 |
“한국 MMORPG의 현지화에 관한 연구 – 군주온라인의 Quest를 중심으로 -“, 서동수·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5, pp.55-62, no.5, 2007.05 |
|
2006 |
Multi-layered Stack Mosaic with rotatable object (SCIE) |
2006년 논문 현황 |
“Designing Audio Visual Software for Digital Interactive Art”, 박진완, IEEE,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reality and telexistence icat 2006, pp.651-655, 2006.11 |
“Using a game engine technique to produce 3D Entertainment contents”, 박진완, IEEE,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reality and telexistence icat 2006, pp.246-251, 2006.11 |
“e-Shadow: A Real-time Avatar for Casual Environment”, 박진완·임양미, SPRINGER-VERLAG, 175 FIFTH AVE, NEW YORK, USA, NY, 10010,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pp.679-682, 2006.09, 0302-9743 (SCIE) |
“게임속의 코미디 요소가 사용자들의 게임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진완·황지연,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9, pp.108-115, no.9, 2006.09 |
“Painterly Rendering with designed imperfection”, 윤경현·박진완, ACM SIGGRAPH, SIGGRAPH Sketch Proceedings, 2006.07 |
“Multi-layered Stack Mosaic with rotatable object”, 윤경현·박진완·유성택, SPRINGER-VERLAG, 175 FIFTH AVE, NEW YORK, USA, NY, 10010,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pp.12-23, 2006.06, 0302-9743 (SCIE) |
“시간변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응용 색체 배색 연구”, 박진완, CTRI, 믄화컨텐츠기술연구원논문집, pp.101-106, 2006.06 |
“중세시대 스테인드 글래스 이미지 표현”, 박진완, 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회 학술지, pp.95-97, 2006.06 |
“글의 방향성과 일러스트의 상징적 속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진완, 영상예술학회, 영상예술연구, pp.301-329, 2006.05 |
“모바일 퍼즐 게임의 규칙을 통한 게임 디자인 연구”, 김지선·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185-188, 2006.05 |
“게임엔진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연구”, 노승석·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294-297, 2006.05 |
“회화적 렌더링 구현을 위한 유화 매체 분석 연구”, 허수정·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259-262, 2006.05 |
“타이쿤 모바일 게임의 문제점 도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박홍·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181-184, 2006.05 |
“휴대용 게임산업의 분석을 통한 국내 휴대용 게임 산업의 고찰”, 박진완·박정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177-180, 2006.05 |
“캐릭터성을 추가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국내 사례와 발전방안 연구”, 맹재희·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64-67, 2006.05 |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에 따른 시간대별 응용 색채 배색 연구”, 황지연·박진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525-529, 2006.05 |
“기본환경에서의 그림자 놀이 도구 연구”, 박진완, HCI 2006 proceedings, HCI 2006 proceedings, pp.513-518, 2006.02 |
|
2005 |
THE COINAGE PROJECT #1: “TIME IS MONEY” (A&HCI) |
2005년 논문 현황 |
“한 장의 영상으로부터 포토 꼴라주 렌더링”, 박진완,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41-45, 2005.11 |
“게임엔진의 디지털 영상사업적용”, 박진완, 지스타조직의원회, International Game Forum, pp.1-10, 2005.11 |
“디지털 매체 기술에 의한 2차원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이원형·박진완,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pp.56-66, 2005.06 |
“모션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사운드 시각화”, 박진완, 디자인학회, 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2005, pp.161-161, 2005.05 |
‘THE COINAGE PROJECT #1: “TIME IS MONEY”‘, 박진완, M I T PRESS, FIVE CAMBRIDGE CENTER, CAMBRIDGE, USA, MA, 02142, LEONARDO, pp.124-124, 2005.04, 0024-094X (A&HCI) |
“샤프닝과 블러링 필터를 이용한 연필 해칭 효과”, 윤경현·박진완,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pp.8-12, 2005.03 |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청각데이터의 시각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진완,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pp.195-204, 2005.02, 1226-8046 |
|
2004년 논문 현황 |
“Mosaic for Stackable Objects”, 박진완, ACM SIGGRAPH, SIGGRAPH: Sketch, 2004.08 |
“샤프닝과 블러링 필터를 이용한 연필 해칭효과”, 윤경현·박진완, 한국 컴퓨터 그래픽스 학회, 한국 컴퓨터 그래픽스 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4.05 |
“게임엔진의 숨겨진 활용 용도와 잠재력”, 박진완, HCI Korea, HCI2004 Proceeding, 2004.02 |